ppt에 추가할 아이콘의 다운을 할 때 무료로 인포그래픽 소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프레젠테이션 자료는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며 청중을 설득하는 것이 목적이니 텍스트보단 픽토그램에 중점을 맞춰서 자료를 만들게 되죠? 문제는 슬라이드 콘셉트에 맞는 픽토그램을 어떻게 구하고 ppt 아이콘 다운을 하느냐는 것인데 그냥 공유 자료실을 활용하면 됩니다. 자료를 구하는 것은 엄청 간단합니다. 다만 ppt 무료 아이콘을 구해도 ppt 인포그래픽 제작을 위한 센스가 어려울 뿐이죠. 어쨌든 이번에는 ppt 아이콘 사이트를 소개하기 위한 글을 적었으니 혹시 무료 ppt 아이콘이 필요했지만 자료실을 몰라서 방황했다면 아래의 정보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pixabay.com]와 [flat..
quicraw (퀵로우)로 raw cr2파일 변환을 하고 싶다면 당연히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해두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리고 기왕이면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도 미리 알아두면 좋겠죠. 그래서 이번에 raw 변환 혹은 cr2 변환을 하고 싶은 분들에게 보탬이 되려 글을 써봤습니다. 비록 프로그램을 하나 소개하는 것에 불과한 글이지만 그래도 직접 촬영해둔 사진을 조금 더 익숙한 형태의 포맷으로 바꾸고 싶고 퀵로드를 써보고 싶었지만 구할 수 없어서 방황하고 있었다면 아래에 적어둔 내용들이 조금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깔끔하게 핵심부터 얘기를 하자면 설치 파일은 제작자 페이지인 [cafe.naver.com/quicraw/13]를 방문하거나 상단에 제가 올려둔 파일을 클릭해서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특이..
포토샵 전용 뷰어로 psd 파일을 열고 싶을 땐 viewer 프로그램 직접 이미지 편집을 하는 분들에게는 익숙한 형태의 포맷인 반면 포토샵으로 이미지 편집을 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psd라는 프로젝트 파일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죠? 그래서 파일 열람에 활용할 포토샵 뷰어를 검색하는 분들이 많은 것일 텐데 사실 특별한 툴을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전히 일반적인 포맷이라 할 수는 없겠지만 예전보단 꽤나 친숙한 포맷으로 자리를 잡았고 이제는 많은 이미지 뷰어가 psd파일 열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기왕이면 성능이 좋은 psd viewer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그래서 참고하실 수 있는 글을 적어봤습니다! 저는 psd 뷰어가 필요할 때 꿀뷰를 선택할 것을 권장합니다. 다양한 포맷을 빠르게 읽을 수 있..
3dp의 net을 사용하는 방법과 네트워크 연결 드라이버의 다운 과정 요즘에는 운영체제에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잡아주니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딱히 신경 쓸 필요가 없지만 운영체제에서 장치 소프트웨어를 잡아주지 않는다거나 기존에 준비된 장치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어서 3dp net 사용법이 필요한 경우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검색하는 분들이 꾸준한 것이겠죠? 그럼 네트워크를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3dp는 어떻게 구하고 사용하는고 하니 아래 3dp net 다운 및 사용법을 적었으며 살펴보고 적용하시면 됩니다. 제가 비록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는 사람은 아니지만 작업 과정이 어려운 것은 아니라서 충분히 참고할 수준은 될 것입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공식 루트를 따라서 다운을 하는 것이..
페이스북의 이미지를 만들 때 필요한 레이아웃 구성 및 사진의 사이즈 SNS 운영을 시작한다면 가급적 깔끔한 페이지를 구성하고 싶어지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첨부하게 될 이미지가 찌그러지는 상황이 없도록 최적화된 사이즈를 알아보는 분들이 많은 것이겠죠. 특히 페이스북 이미지 사이즈를 필요로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글을 적어보려 합니다. 제가 직접 실험하면서 알아낸 페이스북 사진 사이즈는 아니고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니 잘 정리된 참고 자료가 있어서 그 내용을 그대로 올릴 계획입니다. 정확한 출처는 따로 정리를 해둘 테니 원본을 보고 싶으시다면 출처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페이스북 레이아웃에 따른 적절한 이미지와 사진의 사이즈 제가 아래쪽에 올려둔 이미지의 출처는 [trendw...
한글 특수문자 단축키로 문자표를 실행하는 방법 한글과 같은 문서 프로그램은 굳이 단축키를 쓰지 않아도 모든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주 쓰는 기능을 빠른 실행 버튼으로 실행하느냐 아니면 마우스로 메뉴를 하나씩 클릭하며 실행하느냐에 따라 작업 효율은 천차만별 달라질 수도 있죠. 고로 문서 작업을 빠르게 하고 싶다면 자주 활용하는 기능은 단축키로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한글 문자표 단축키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죠. 그럼 특수문자를 입력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빠른 실행 버튼은 뭔고 하니 아래쪽에 상세하게 적어두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특수문자 입력 방법은 키보드에서 자음을 한 번 누르고 한자 버튼을 눌러주는 것입니다. 그럼 자음에 따른 문자들이 드롭되며 필요한 것을 선택하면 되..